간호연구 및 간호실무 적용에 있어 최근 빈번히 사용되었거나 앞으로 적용 가능성이 큰 유용하고 다양한 중범위이론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특히 중범위이론을 소개함에 있어 다양한 이론을 범주(생리적, 정신적, 사회적, 통합적)에 따라 조직화하여 제시한 점이 매우 유용하다. 이러한 분류를 중범위이론을 일목요연하게 제시할 뿐만 아니라 각 범주에 해당하는 적절한 실무적용 포인트를 제공하고 있어 특정 중범위이론을 실제 임상실무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각 중범위이론이 실제 연구에 어떻게 활용되었는지에 대한 다양한 예시와 특정 임상실무 상황에 어떻게 그 이론이 적용되었는지에 대한 실제적인 사례를 풍부하게 제시하였으며, 추가로 각 중범위이론에 해당하는 다양한 측정도구를 소개함으로써 해당 이론에 대한 이해와 실무적용을 돕는다.
PART I 중범위이론의 개요
chapter 01 간호지식의 본질
chapter 02 중범위 간호이론에 대한 분석, 평가 및 선택
PART II 생리학적 중범위이론
Chapter 03 통증: 진통과 부작용 간의 균형
Chapter 04 불유쾌증상
PART III 정신학적 중범위이론
Chapter 05 자기효능감
Chapter 06 만성 슬픔
Chapter 07 간호실무에서의 영적 간호
PART IV 사회학적 중범위이론
Chapter 08 사회적 지지
Chapter 09 돌봄
Chapter 10 대인관계
Chapter 11 애착
PART V 중범위이론의 통합
Chapter 12 모델링 및 롤 모델링
Chapter 13 안위
Chapter 14 건강관련 삶의 질
Chapter 15 건강증진
Chapter 16 심의 간호과정
Chapter 17 회복력
Chapter 18 계획된 변화
Chapter 19 AACN 시너지 모델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