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변화하는 보건의료정책은 건강수명연장과 건강형평성을 제고하여 지역사회의 통합적인 건강증진사업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구집단별로 예방중심의 건강생활 실천을 확산하고 있으며, 건강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브릿지 플랜, 청소년의 생식건강증진사업, 국민의 건강형평성 확보,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시행, 간호사 주관의 방문간호사업, 보건의료 관련 간호사 창업시대 등 간호사에게 보다 더 확대된 역할을 요구하고 있어 간호계는 핵심역량을 갖춘 전문간호인력을 양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인 요구에 부응하여 간호사 국가시험의 방향은 사례중심의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임상추론과정을 거치는 문제해결형으로 바뀌어 학생들이 자료분석 및 종합능력, 의사결정능력, 창의력, 비판적 사고와 논리적 추론 능력 등을 키우고, 자기주도적 학습에 훈련이 되어야 하므로 이에 적합한 학습전략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한국간호과학회는 새롭게 분야를 설정하여 영역별로 분류하였고, 분과 학회들은 세부적인 학습목표에 대해서 논의를 계속하고 있으며, 지역사회간호학회도 학습목표를 문제해결형으로 변화시켰다.
또한 전반적 건강정책과 보건환경의 변화에 따라 개정된 국가보건정책 및 법적 내용을 반영하였으며, 각 영역별로 미비한 부분에 대해서는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내용을 보완하였다.
CHAPTER 01 국내외 보건정책의 이해
제1절 지역사회간호의 이해
제2절 지역사회간호의 역사
제3절 지역사회간호와 보건정책
제4절 보건의료전달체계의 이해
제5절 국제보건의 이해
CHAPTER 02 역학지식 및 통계기술의 실무적용
제1절 역학의 이해
제2절 질병의 자연사와 예방수준
제3절 역학적 측정지표
제4절 건강검진의 진단검사
제5절 역학적 연구
제6절 보건통계 활용
제7절 인구현상의 이해
CHAPTER 03 지역사회간호과정
제1절 지역사회간호사정
제2절 지역사회간호진단
제3절 지역사회간호계획
제4절 지역사회간호수행
제5절 지역사회간호평가
CHAPTER 04 건강형평성 이해 및 문화적 다양성의 실무적용
제1절 지역사회와 건강
제2절 문화적 다양성과 지역사회간호
제3절 취약가족과 간호
CHAPTER 05 보건사업기획
제1절 지역사회간호이론
제2절 보건사업기획
제3절 보건정보 및 기술활용
제4절 지역사회간호사업의 질 관리
CHAPTER 06 자원활용
제1절 지역사회간호활동
제2절 사례관리
CHAPTER 07 건강증진사업 운영
제1절 보건교육의 이해
제2절 보건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제3절 보건교육수행
제4절 보건교육평가
제5절 건강증진 개념의 이해
제6절 건강증진프로그램
제7절 학교보건교육과 건강증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