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는 의약분업과 파업, 보라매 병원 사건, 김 할머니 사건 등 커다란 일들을 겪었고 의료정책에서도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언론과 일반의 관심이 높아졌으며, 경우에 따라 논란이 소송이나 입법 활동으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시장의 압력과 정부의 규제 등 의료와 의사를 둘러싼 환경은 그 어느 때보다 복잡해져 가고 있고, 그에 따라 윤리적 논의의 범위도 넓어졌다.
의료윤리학계에서도 전문직업성, 연명의료의 보류와 중지, 신의료기술의 도입, 임상시험, 제약업체와 의사의 관계 등에 대해 활발하게 탐색해 왔다. ‘의료윤리’라고 하면 안락사나 인공임신중절을 떠올리게 되던 시절에서 한발 앞으로 나아간 셈이다. 환자와 의사의 관계에 국한하지 않고, 사회와 보건의료정책, 그리고 법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논의를 확대해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학회는 새롭게 개정한 학습목표에 맞춘 의료윤리 교과서를 발간하게 되었다. 전임 최보문 회장께서 기획하신 작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해서 편집위원들과 학회 회원들이 수고를 아끼지 않았다. 이 책을 가지고 공부하게 될 학생들과 독자들이 이렇게 애쓴 사람들의 노고를 발판으로 한발 더 나아갈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PROLOGUE 01 새로운 히포크라테스를 기대하며
PART 1 이론적 토대
CHAPTER 01 의료윤리의 기본 개념
CHAPTER 02 과학적 추론과 윤리적 추론
CHAPTER 03 윤리이론과 4원칙
CHAPTER 04 갈등 해결을 위한 제도
PART 2 전문직업성
CHAPTER 05 전문직업성의 이론과 실제
CHAPTER 06 이해상충과 해결원칙
CHAPTER 07 의사와 동료 의료인 관계
CHAPTER 08 예비 의사를 위한 전문직업성
PART 3 의사와 환자
CHAPTER 09 환자와 의사의 권리와 의무
CHAPTER 10 충분한 정보에 의한 동의
CHAPTER 11 취약한 환자에서 충분한 정보에 의한 동의
CHAPTER 12 진실 말하기와 환자의 비밀 보호
CHAPTER 13 진료실 문제 상황에 대한 윤리적 대처
CHAPTER 14 의료과오와 의료분쟁
CHAPTER 15 의료자원의 적절한 사용
PART 4 출생과 사망
CHAPTER 16 보조생식술과 인공임신중절
CHAPTER 17 연명의료의 유보와 중지
CHAPTER 18 임종기 환자 진료와 완화의료
CHAPTER 19 뇌사와 장기이식
PART 5 의학연구
CHAPTER 20 연구대상자 보호
CHAPTER 21 인체유래물과 유전자연구
CHAPTER 22 연구진실성과 연구부정행위
APPENDIX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