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간호계에서 일어나는 엄청난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이 새로운 환경에서, 간호사의 역할은 확장되고 있
으며, 새로운 요구와 도전이 주어지고 있다. 간호실무의 초점이 변화하고 있으며, 대상자 안전, 의사소통, 비판
적 사고가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이 책은 이러한 변화에 직면하면서 변화에 발맞추는 데 필수적이다.
간호전문직의 첫 번째 임무는 대상자가 다양한 환경에서 독립적이며 안전하게 기능하도록 대상자를 지
지하거나 회복시키는 것이다. 대상자의 입원기간이 점점 짧아지고 있기 때문에, 대상자는 많은 부담을 느
끼게 되고 간호사는 그때 그때 대상자를 만나는 상황에서 판단을 해야 하는 압력을 받고 있다. 간호사는
①대상자 건강상태를 정확하게 사정해야 하고, ②각 사례에서 문제나 과제를 진단하고, ③기대할 수 있는
성과가 무엇인지 대상자가 이해하도록 도와야 하며, ④적절한 중재를 계획하고 결정해야 한다. 무엇보다 간
호사는 각 대상자의 경과를 관찰하고 평가해야 한다.
간호학생의 경우, 최신 간호지식의 기초와 임상기술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간호학생 자신은 비판적 사고
기술을 개발해야 하며, 임상현장에서 비판적 사고기술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이를 명심한다면, 이
책은 간호학생이 역동적인 간호실무에 대비하기 위한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volume I
UNIT 1 간호의 기반
CHAPTER 1 간호전문직
CHAPTER 2 건강, 안녕, 보완대체의학
CHAPTER 3 지역사회와 가정에서의 건강관리
CHAPTER 4 문화와 다양성
CHAPTER 5 간호사 - 대상자 관계에서의 의사소통
CHAPTER 6 가치·윤리적·법적 문제
CHAPTER 7 간호연구와 근거기반 간호
CHAPTER 8 환자 교육과 건강증진
CHAPTER 9 노인 간호
UNIT 2 간호과정
CHAPTER 10 간호과정: 실무를 위한 기초
CHAPTER 11 간호사정
CHAPTER 12 간호진단
CHAPTER 13 간호성과 확인과 간호계획
CHAPTER 14 간호수행과 간호평가
CHAPTER 15 기록과 건강관리팀의 의사소통
UNIT 3 임상 간호요법
CHAPTER 16 건강사정
CHAPTER 17 활력징후
CHAPTER 18 무균술과 감염관리
CHAPTER 19 투약
CHAPTER 20 정맥요법
CHAPTER 21 수술주기 간호
UNIT 4 임상 간호관리
CHAPTER 22 안전
CHAPTER 23 개인위생과 자기돌봄
CHAPTER 24 기동성
VOLUME II
CHAPTER 25 호흡기능
CHAPTER 26 심혈관기능
CHAPTER 27 체액과 전해질, 산-염기 균형
CHAPTER 28 영양
CHAPTER 29 피부통합성과 상처치유
CHAPTER 30 감염예방과 관리
CHAPTER 31 배뇨
CHAPTER 32 배변
CHAPTER 33 수면과 휴식
CHAPTER 34 통증관리
CHAPTER 35 감각지각
CHAPTER 36 인지과정
CHAPTER 37 자아개념
CHAPTER 38 가족관계
CHAPTER 39 상실과 슬픔
CHAPTER 40 스트레스, 대처와 적응
CHAPTER 41 성
CHAPTER 42 영적 건강